DSM이란?
NAS DSM은 Disk Station Manager로 일종의 NAS 전용 Linux 기반 OS이다. 쉽게 말해 NAS도 모니터가 없는 간단한 서버 컴퓨터이지만 부팅이 된 상태기 때문에 뭔가 볼 수 있도록 GUI환경으로 개발된 Windows라 보면 된다.
NAS 초기 설정?
NAS 초기화 이후 디스크 볼륨 설정, Synology 계정 생성 및 QuickConnect.to 설정은 구글링으로 쉽게 찾을 수 있어 다루진 않는다.
사실 일반적인 PC의 포맷과 OS 설치 처럼 초기 설치 마법사가 진행해주기 때문에 단계별로 쉽게 따라하면 된다. 중요한건 동일한 네트워크에 있어야 한다. 통신사로부터 구매한 메인 LAN 연결을 ipTime과 같은 공유기로 로컬 컴퓨터와 서버 컴퓨터와 port1, port2로 분리시켜 놓기만 하면 된다. (QuickConnect로 원격만으로 업로드, 다운로드 한다면 이 과정마저 필요 없다. AWS와 비슷하게 나만의 AWS 서버 컴퓨터를 사용하는 느낌?)
DSM로 서버 접속
서버 이름은 FredStation이며 QuickConnect 설정을 했기 때문에 QuickConnect.to/ohnyong으로 접근 할 수 있지만 현재 내 로컬 Mac의 chrome_94 버전 브라우저 자체의 문제로 QuickConnect로 접근이 불가능했다. reddit 등 여러 커뮤니티에서도 해당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한 로딩이 지속된다.
해당 이슈에 대한 솔루션의 문제는 방화벽과 관련된 문제라 강제로 방화벽을 없에기엔 다른 웹 사이트 접속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나는 현재 로컬 PC와 서버 PC가 동일 네트워크 환경이기 때문에 http://192.168.0.3:5000/로 직접 접속하는 것을 택했다.
사실 safari브라우저나 chrome의 sercret browser로 새창으로 접근하면 해당 QuickConnect도 이용 할 수 있는데 브라우저가 이것저것 뜨는것이 귀찮기 때문에 시작그룹에 해당 ip주소로 직접 들어가는 것을 추가해 두었다. 모바일 디바이스나 다른 네트워크 환경에서 원격으로 접속 할 땐 QuickConnect를 통해서 서버에 원격 접속 할 수 있다.
http://192.168.0.3:5000/
나의 로컬 컴퓨터에서 웹 브라우저로 서버 컴퓨터의 DSM에 접속한 화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