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검색 성능이 점진적으로 개선되지 않고 한번에 올랐습니다.
A. 점진적으로 개선되거나 그런 테스트 결과를 원했겠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그렇기도합니다. 오히려 성능이 나쁠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건 그 테스트 자료들의 그렇다고해서 필요 없는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그런 모습을 연출하려고 조작되면안되고 그대로 나타나는것이 맞습니다. 그래서 지금 결과가 맞는것입니다.
Q. 향후 프로젝트에서 어떤 부분을 중점으로 진행하면 좋을 까요?
A. FTI와 Elasticsearch를 도입한 부분에서 풀텍스트인덱스의 편차가 발생했던 부분을 더 깊게 파보았으면 좋았을것 같습니다. 물론 프로젝트 끝나고도 계속해서 찾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MySQL의 풀텍인덱스에 대해서 알고리즘이나 자료구조까지 확장해보고 더해서 디폴트 엔진인 InnoDB에 대해서까지 그 차이를 발생시키는것이 무엇인지 알아보기까지..
그 편차의 원인, 무엇이 그렇게 만들었는지 찾아가는 과정을 계속해서 공부해보시는게 도움 될 수 있습니다. 그게 그 부분에 대해서 다른 어느 개발자보다 잘 아는,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아는 개발자가 되는 깊은 공부 방법입니다.
특히 이런 깊은 공부를 할때는 공식문서를 참고하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가장 명확한 근거이기 때문입니다.
멘토님의 충고
공통적으로 기술 스택들에 대해서 근거를 잘 정리해오고 있지만 또한 계속해서 보다 더 정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이유는 이는 곧 기술을 선택 또는 판단하는 능력이고, 그 기술을 선택한 것이 맞다는 근거를 만드는 능력. 이게 실무에서 실제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프로젝트 끝에 안주하면 안됩니다. 개발공부 시작입니다.
마무리 될 수 있는 부분은 마무리해야겠지만, 앞으로 더해야할것이 많고,
스트레스 관리와 번아웃을 조절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