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2편 참고자료
EC2 Console에서 MySQL 초기 설정 참고
RDS 연결하기 포함편 참고
EC2에 github pull때, TEST 가 충돌이 난다 제거필요, application.properties를 직접 찾아가서 생성해줘야함
TEST파일은 빌드할때 오류가 발생하나보다. 삭제한것을 다시 pull받고 돌리니 빌드가 된다.
하지만 런타임단계에서 오류가 발생하는데,
application.properties 파일 자체가 github에서 제외되었기 때문,
보안땜에 github은 안올리는데,
EC2 서버컴에서 pull받으면 이것자체가 없으니 빌드하면 JDBC정보 등등을 못찾을거다.
.gitignore로 제외한것이 있다면, bootjar 빌드에 필요한것은 직접 찾아가서 생성해줘야한다.
우분투 방화벽 ufw 설정 및 허용, EC2 배포시 8080을 혹시나 막았는지 확인할것
ufw 활성화하기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고 y를 누르면 방화벽이 활성화된다.
$ sudo ufw enable
여기서 터미널 종료하지 말고 바로
$ sudo ufw allow ssh
까지 해야한다. 안 그러면 해당 서버에 접속할 수 없게 된다.
mysql 처럼 유명한 프로그램은 그냥 프로그램명으로 포트를 열어 줄 수 있다.
$ sudo ufw allow mysql
현재 열려 있는 포트 정보 확인하기
$ sudo ufw status
를 실행하면 현재 열려 있는 포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AWS Inbound rules와 우분투 ufw 설정까지 모두 했고 해당 서버를 설치했다면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해진다.
위 예의 경우 mysql 서버를 설치했다면 말이다.
EC2 보안그룹 인바운드 규칙 포트열기
8080열어둬야 외부접속 DDNS설정된 EC2에서 말하는 개방주소로 접속 시 기본 인 80, 또는 8080처럼 서버 포트 22인 SSH , 400 HTTPS 등을 열어둬야 접근 가능하다.
Filezilla를 통한 SFTP로 jar를 EC2 서버컴퓨터로 옮기기
NAS에 데이터 전송해보려 할 때 과정하고 비슷하다.
기억할건 FTP 22포트 허용된상태 이런것들정도?